본문 바로가기
728x90

PCB5

[작업일지] 전체 배선도 그리기 (완료) 25.02.18 - 25.02.24 시동용 배선을 완성했으니 이번에는 전체 배선도를 그리게되었다. (원래는 easyEDA에서 그리다가 동아리원 모두 사용가능한 visio로 그려달라는 요청이있어서 이번에는 visio로 그렸다)전체 배선도는 위와 같다.이번 배선도는 엔진 센서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을 최대한 실제 차량의 위치와 비슷하게 배치하는게 목표였다. 중앙에는 저번에 만들었던 PCB가 위치하고있다. 우측에는 엔진쪽에 부착된 센서들과 브래이크등이 위치하고 있다. PCB위쪽의 릴레이와 퓨즈들이다.처음 배선을 그릴때는 릴레이쪽 배선을 연결할때 실수를 많이했는데, 지금은 동작 방식을 확실하게 이해하게 된 것 같다. 왼쪽에는 버튼들과 스위치들이 위치하고있다. 끗 2025. 3. 8.
[작업일지]BreakOut PCB기반 시동용 배선 그리기 (완료) 작업 기간: 25.02.08 - 25.02.11저번에 만들었던 PCB를 기반으로 시동용 배선을 그리게 되었따 배선은 24년도에 제작했던 차량의 배선을 기준으로 emu black manual과 honda_cbr_600_rr_2007_2008_manual 을 참고하여 그렸다.작업은 EasyEda에서 했으며 이번에는 최대한 이쁘게 그리려고 나름 노력했음(..)센서 쪽은 금방 끝냈는데, 릴레이 퓨즈 쪽에서 조금 삽질을 했다.. 그래도 삽질하면서 릴레이 와이어링은 확실히 감을 잡은 듯(삽질의 흔적들..)이번엔 커넥터도 잘 들어가서 무난하게 납땜 해줬음 본가에 가느라 내 눈으로 확인은 못했지만 잘 동작하는 모습이다 ㅎㅎ 0부터 시작해서 수많은 삽질 끝에 실제 사용할 PCB를 만들어 보다니 감회가 새롭다. 2025. 3. 4.
[FSK_25] breakout board 만들기 - 9 진짜 최종버전이 될 줄 알았던 풋프린트..EMU 매뉴얼 상에서 ECU Ground와 Battery 12V의 전선이 2.5mm^2 이므로 아무 생각 없이 PCB의 트레이스 폭을 2.5mm로 맞춰주면 될 거라고 생각했었다. 다행히 최종 검토중에 PCB 트레이스의 단면적을 2.5mm^2으로 맞춰야 하지 않냐는 피드백을 받았고, 찾아보니 실제로 흐르게 될 전류에 따라 트레이스폭을 결정해야했다. 계산해 보니 구리의 두께 1온스 기준으로 최소 12mm 정도의 트레이스 폭이 필요하다고 나왔고,구리의 두께를 2온스로 해도 거의 6mm가 나왔는데 두 가지 모두 현재의 풋프린트에 적용시키기는 어려워 보였다. 대안으로 내부 레이어를 추가하여 하나의 핀에 여러 개의 트레이스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안을 찾았지만, 비용이 너무 비.. 2025. 1. 21.
[FSK_25] breakout board 만들기 - 6 아마 이 포스팅 1~2번 정도 더 포스팅하면 드디어 진짜로 완성될 듯하다. 라우팅저번 포스팅에서 핀 간격으로 인해 12V 네트를 라우팅 못하는 이슈가 있었는데, 직접 커넥터의 풋프린트를 다시 그리면서 해결했다.그레이 커넥터는 작업실에 있어서 버니어로 직접 측정해서 핀간격을 설정했다.0.02mm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이 정도는 그냥 적당히 핀을 구부리면 들어갈 것 같다. 문제는 블랙 커넥터이다.Emu black의 숫 커넥터가 작업실에 없어서 암커넥터를 보고 적당히 핀 간격을 설정해서 그렸는데, 잘 맞았으면 좋겠다.. 최종 배선도아마 배선도는 더 이상 수정할 일이 없을 것 같다.이전과 바뀐 점은 오타 수정과 Power Ground의 핀을 커스텀 핀으로 바꾼 것 이렇게 있다. 풋프린트아무것.. 202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