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53

자작 자동차 데이터 로거 만들기 (1) - 소개 및 아키텍처 2025년 3월 30일 부터 시작했던 자작 자동차 데이터 로거 만들기가 드디어 거의 마무리 되었다.프로젝트 개요2025년 3월 30일차량을 테스트 할 때 드라이버가 일일이 대시보드(ADU)의 TPS, 냉각수 온도 RPM등을 전화로 소통하며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보았다. 마침 CAN통신에 관심을 갖고 있던 나는 CAN통신을 이용하면 좀더 쉽게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고, 약 5개월이 지난 지금 첫 번째 버전의 데이터 로거가 완성되었다.시스템 구조현재 시스템 구조는 아래와 같다.데이터 수집 (차량): 차량의 ECU 마스터 EMU BLACK이 CAN 통신으로 보내주는 데이터와 GPS, 가속도 센서의 값을 라즈베리파이가 수집.데이터 전.. 2025. 8. 30.
[작업일지] - 변속 아두이노, 역기전력 7.6 로우사이드 스위칭 -> 하이사이드 스위칭 변경 (N채널 모스펫 -> P채널 모스펫)P채널 모스펫 테스트 영상P채널 모스펫 테스트 영상 2기존의 N채널 모스펫을 사용한 방식으로는 시동이 걸리지 않아서 조사를 해보니 애초에 잘못된 모스펫을 사용했음을 알게되었다.현재 차량에서 사용하는 인젝터는 2핀(전원선과 신호선)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로 (-)선이 없기 때문에 하이사이드 스위칭구조를 사용해야하는데, N채널 모스펫은 로우사이드 스위칭에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P채널 모스펫을 이용하여 다시 회로를 구성하였다.7.10 SSRP채널 모스펫으로도 정상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발열이 너무 심해 그냥 SSR을 사용하여 스위칭하기로 하였다. 최종 하드웨어 구성아두이노 우노 R3 + L298N 모터드라.. 2025. 7. 17.
마지막 변속 테스트(LED) 여러가지를 동시에 하다보니 이제야 마무리 됐다.다음주에 첫 시동을 걸어보고, 2주뒤에 실린더에 공압을 넣고 변속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테스트 해볼 예정이다.LCDFuelCutTime: 인젝터 킬 지속시간T: 변속 실린더 동작시간D: 변속 실린더 동작 지연시간(D ms 이후 실린더 동작)동작시간은 납땜된 가변저항으로 조정브레드보드파란색 LED: 실제 인젝터로가는 전류 확인용확장PCB파란색 LED: 공압 실린더 동작 확인용빨간색 LED: FUELCUT 신호 확인용스위치패들쉬프트 방식0-4단 사이에서만 동작 2025. 6. 26.
[작업일지] 공압식 변속 제어 아두이노 제작 - 2 변경사항인젝터 - 모스펫 연결 수정 인젝터 킬 스위치 추가 게이트에 10K 풀 다운 저항 추가시뮬레이션 상으로는 문제가 없었는데, 실제 회로를 구성하여 LED로 테스트해보니, 게이트의 전압을 제거해도 LED가 꺼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음찾아보니 플로팅 현상이 문제 인 것 같아 풀 다운 저항을 추가하여 해결 납땜시험 끝나고 실제로 변속기를 테스트 해보기 위해 납땜도 마무리해줬다.정상 작동 확인 되면 추후에 납땜도 깔끔하게 다시 해줘야 할 듯하다. 2025. 5. 31.
[멘토링] .img 파일 문자열 추출 프로그램 만들기(C++)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5. 27.
4.5월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5. 24.